대회 투입비용比 수익 10% 미만 … 경기장 유지비 등 압박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는 인천아시아경기대회 폐막 후 인천시가 떠안아야 할 후유증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회 조직위원회의 수입이 전체 투입비용 대비 10%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나타났고, 대회 종료 이후 시가 갚아야 할 부채 원금은 1조원이 넘기 때문이다.

9월30일 인천시와 대회 조직위원회가 발간했던 각종 보고회 자료에 따르면 이번 대회에서는 운영비 4832억원, 각종 시설비 1조7224억원이 소요됐다. 운영비는 크게 정부 지원금 2007억원과 시 지원금 1282억원으로 나뉜다. 나머지 1534억원은 조직위원회가 각종 마케팅 비용으로 벌어들여야 한다.

단순 계산으로 따지면 조직위원회 수입은 대회 전체 투입예산 2조2056억원의 8.9%에 불과하다.

현재로서는 조직위원회가 계획한 수입을 모두 거둘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조직위는 당초 입장권 판매로 350억원을 벌어들일 예정이었다. 하지만 판매가 저조하자 280억원으로 목표를 낮춰 잡았다. 현재까지 230억원 규모의 입장권이 팔린 것으로 전해졌다. 정확한 조직위원회의 수입 규모는 대회가 끝난 뒤 드러날 예정이다.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 시설비는 더 심각하다. 시는 대회 경기장 49곳 중 17곳을 신축하고 12곳을 보수했다. 인접도시와 민간·민자 경기장, 훈련시설 등에도 돈을 들였다. 이렇게 발행한 부채는 원금만 1조2523억원이다. 이자까지 합치면 1조7502억원에 달한다.

시는 내년부터 대회 부채를 연차적으로 갚을 예정이다. 시가 작성한 '경기장 건설비 지방채 발행 및 상환계획'에 따르면 내년부터 673억원을 상환하기 시작해 2020년 1573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하다가 2029년에야 모든 원금을 상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15년 이상 매년 1000억여원에 달하는 빚을 갚아야 하는 것이다.

대회 이후 경기장 유지보수와 관리도 시의 재정에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매년 수백억원 대의 관리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는 이번 대회에 신설한 서구 주경기장과 각 지역별 경기장, 다목적 체육관을 합해 총 16곳의 관리방안을 세워야 한다.

생활체육 운영, 문화·복지시설 확충, 수익시설 유치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뾰족한 수는 없다.
배국환 시 정무부시장은 지난 9월26일 "대회 이후 체육시설 어떻게 할 건가. 내년부터 500억원씩 들어간다"며 "수입은 100억원만 들어오면 다행"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조직위 관계자는 "국제대회는 수익 사업이 아니라 적자는 어쩔 수 없다"라며 "대회 관리와 부채 상환은 시가 책임져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