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의 재정난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 2011년 정부가 파산 직전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방재정위기관리제도'를 운영하기 시작한 이래로 인천은 '주의' 단체 명단에서 단 한 차례도 빠진 적이 없다. 벌써 4년째 이어지고 있으니 사람으로 치면 지병과 마찬가지다.
처음 재정위기를 맞이할 때, 인천시민은 이를 전국적인 망신으로 여겼다. 전국적으로도 가장 부자도시라고 자축하던 때가 엊그제였기 때문이다. 재정상황이 그나마 괜찮았던 지난 2009년의 재정자립도는 75.7%였다. 광역시 중 최고 수준이었고, 광역자치단체로 봤을 때 서울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지금은 올해 기준 61.6%에 불과하다. 추락하는 재정자립도에는 날개가 없었다. 고치기 쉽다면 지병으로 불리지 않을 것이다. 뼈를 깎는 노력이 있어야 했다. 민선 5기 송영길 전 시장도 지난 2012년 5·30 재정위기대책을 발표하고 각종 재산을 팔았지만 충분치 않았다. 부풀려진 예산 규모를 줄이지 못하고 재산 매각 수입에 의지했던 것이 결정적인 패착(敗着)이었다. 유정복 시장의 민선 6기 시 정부는 이제 예산 규모를 줄이기 위한 재정개혁에 착수한 상태다. 하지만 시 내부의 사정은 녹록치 않은 듯 하다. 자기 부서의 예산이 깎이는 것을 좋아할 공무원은 없을 것이다. 다른 부서 예산은 삭감되도 자기 것은 지키고 싶은 게 보통이다. 배 부시장이 지난 26일 각 부서의 예산 담당자를 긴급 소집해 쏟아낸 쓴 소리의 골자는 이러한 '보통' 생각을 뒤엎어 달라는 것이었다. 이날 배 부시장은 버스 준공영제, 출산 장려금 지급, 사회단체 보조금, 아시아경기대회 후 체육시설관리, 인천유나이티드FC 운영 등을 개혁 사업의 예시로 들었다.

필요하다면 일몰제를 도입하거나 돈을 끌어올 방안을 찾아야 하고 공무원 수당 삭감까지 언급했다. 공무원 스스로 예산에 대한 기득권을 내려 놓고 예산 개혁에 함께하라는 목소리였다.
물론 배 부시장의 질책이 탐탁치 않을 수도 있다. 대다수의 공무원이 침묵을 지킨 것을 보면 더더욱 그렇다. 하지만 자기 몫을 확보하는 대가로 망신이었던 인천의 재정난을 당연하게 여기진 않았는지 돌아봐야 한다. 언제까지 곪은 상처를 덮어둘 순 없지 않은가. 부러진 뼈와 으스러진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건 극심한 고통에도 꾸준하게 이뤄지는 물리치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