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월호 참사와 함께 전격 '해체' 결정이 난 해양경찰 채용 원수접수에 많은 젊은이가 지원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고 있다. 해경청이 2014년 하반기 채용원서접수 결과 모두 195명 모집에 5764명이 지원, 29.6대 1의 경쟁률을 보인 것이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 10.8대 1의 경쟁률이나 올 상반기 9.3대1의 경쟁률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올 하반기 최고경쟁률은 공채 여경 분야로 10명 모집에 905명이 지원해 평균 90.5대 1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현상은 경찰공무원을 비롯한 공무원 선호 트랜드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해경이 조직 해체와 함께 국가안전처로 편입된다 하더라도 해양 안전관리 등 본연의 기능이 계속 유지될 것이란 사실 때문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경찰공무원 지원자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해경청의 내년 예산은 1조2240억 원으로 올해보다 9.9%로나 증액, 책정돼 해경청의 해체가 어떤 의미를 갖는 건지 알쏭달쏭하게 만들고 있다.
해경청의 해체 결정은 유가족들과 국민의 슬픔을 달래기 위한, 어찌 보면 상징적의미라 할 수 있다. 해체 결정이 나던 당시엔 유가족을 포함해 모든 국민들의 공분을 샀고, 어떻게든 책임을 물어야 하는데 마땅한 방책이 없어 '국민달래기' 식의 임시방편처럼 보인 것도 사실이다. 실제 해경이 해체된다 하더라도 그 인력은 그대로 국가안전처로 소속돼 해상 안전관리와 해상주권 확보 등의 일을 수행하게 되므로 어쩌면 무늬만 바꾸는 것일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해경해체의 의미를 다시한번 곱씹을 필요가 있다. 해경해체는 잘못된 일처리엔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는 일벌백계의 의미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도리를 하겠다는 의미가 더 크다. 즉 세월호참사에서 보여준 해경의 행태를 반면교사 삼아 구조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해경은 이같은 뜻을 잘 눈여겨 보아 국가안전처에 편입과 함께 해상안전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해경은 사라지지만 이름만 사라지는 것일 뿐, 구성원과 장비 등 내용은 그대로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해경지원 경쟁률이 무려 30대 1에 이르는 것은 여전히 해경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크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해경은 일신우일신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