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의 위험시설을 놓고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토론을 벌인다는 소식이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인천YMCA는 '왜 인천인가'란 토론회를 통해 지역의 위험시설에 대해 10월까지 집중 논의하기로 했다. 이는 인천에 LNG인수기지, 화력발전소, 쓰레기매립지 등 기피시설이 점점 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주최 측은 이처럼 지역 주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협하는 대형 기피시설들이 왜 인천에 집중적으로 건설되는 것인지, 이에 대한 책임을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물어보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첫 토론회인 23일엔 인천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증설 논란을 두고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두번 째 토론회는 영흥도 유연탄 화력발전소 증설 논란에 대해 토론을 벌인다. 세번 째 주제는 수도권매립지 기한연장 논란에 관한 것이다. 세가지 사안 모두가 인천시민들의 삶의 질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특히 현재의 상태에서 위험시설을 더 추가하거나 기한을 연장함으로써 '엎친데 덮친격' 정책의 난맥상을 여과없이 보여주고 있다. LNG탱크 증설 논란의 경우 국내 천연가스 저장비율을 올리기 위해 추진 중이다. 영흥도 유연탄 화력발전소도 당초 청정연료인 LNG를 쓰기로 했으나 정부가 지난해 2월 '제6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을 통해 연료를 석탄으로 바꿔버렸다. 경제성을 위해 인천 시민들의 환경권을 볼모로 잡았다. 이와 함께 수도권매립지는 법적으로 2016년 매립을 종료해야 한다. 그렇지만 정부와 서울시, 경기도가 사용기한을 연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럴 경우 근 30년 간 인천지역의 땅과 공기, 바다를 오염시킨 오염원을 앞으로도 수십년 동안 안고 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당연히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이런 기피시설 말고도 많은 산업단지가 들어서면서 시민들은 탁한 공기와 흐른 물 속에서 살아왔다.

인천의 지리적 조건이 우리나라의 수도인 서울과 가깝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인천은 서울에 딸린 위성도시 쯤으로 치부돼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지만 그에 상응한 대접이나 혜택은 아예 없거나 미미했던 게 사실이다. 인천시민들의 이번 움직임은 '님비현상'이 아닌 생존권 차원의 진지한 대화라 할 수 있다. 토론회를 통해 현명한 대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