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2)

신용석.jpg
해방신학을 상징하는 레오나르도 보프 신부에 대한 청문회가 열리던 1984년 필자는 바티칸에 있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재위 때였다. 당시 라틴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가톨릭 교회 곳곳에서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교리를 해석하고 이들을 위해 교회가 발 벗고 나서야 한다는 운동이 전개되고 있었고 바티칸에서는 이를 통제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었다.

▶필자는 보프 신부를 만나 인터뷰하고 그로부터 직접 해방신학의 배경과 라틴 아메리카의 실상을 듣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다. 젊은 언론인의 입장에서 라틴 아메리카에서 시작된 해방신학에 대한 관심도 컸었지만 바티칸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자신의 뜻을 펴는 보프 신부를 꼭 만나고 싶었던 것이다. 바티칸에서 필자는 행운을 만났다. 당시 바티칸에서 체류하고 계시던 장 극 신부님을 우연히 뵙게 되었고 그분의 주선으로 보프 신부를 만나게 되었던 것이다.

▶40여년에 걸친 언론현장에서 수많은 국내외 인사를 만나고 인터뷰했지만 보프 신부와의 대면은 가장 기억에 남고 보람 있었던 회견이었다. 소박한 사제 복장에 청문회에 불려 나온 신부답지 않게 의연한 자세로 라틴아메리카의 현실과 해방신학을 설명하는 보프 신부를 보면서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뇌하는 사제와 바티칸의 고민을 이해할 수 있었다.

▶당시 보프 신부를 청문회에서 심문했던 분은 바티칸 신앙교리성의 라칭거 추기경이었다. 독일 출신 사제로 그 후 베네딕토 16세로 교황이 된 라칭거 추기경은 보프 신부를 상대로 청문회를 계속하면서 해방신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경계하고 정치성을 내포한 혁명론을 비판했다. 그 후 보프 신부는 사제의 길을 떠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해방신학운동도 잠잠해졌다.

▶한국 방문을 끝내고 바티칸으로 돌아가는 기내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엘살바도르 군사정권에 의해 암살된 해방신학의 또 다른 상징이었던 오스카 로메오(1917~1980) 대주교에 대한 복자로의 시복을 발표하면서 교황청 신앙교리성에서 제기되었던 교리적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시 검소하고 낮게 임하며 소외계층에 대한 애정을 보면서 보프 신부가 연상되었다.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