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30 재·보궐선거가 마침내 끝났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6곳을 포함 전국적으로 15곳에서 치러져 가히 미니총선으로 불리며 보름여를 국민의 눈과 귀를 끌었던 이번 선거는 "정권심판"이니. "야합정치"니 하는 정치권의 구호만 남긴 채 막을 내렸다. 여·야 정치권은 저마다 성과와 공과를 견주고, 향후 정국의 향방을 가늠하느라 여념이 없다. 그러나 정작 이번 선거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가슴은 먹먹하다. 정치권은 판이 끝났으니 손에 남은 것을 계산하면 그만일지 모른다. 그러나 정작 선거를 치른 유권자들의 판단은 이번 선거는 철저하게 정치권 그들만을 위한 그들만의 판이었을 뿐이다. 이번 선거결과가 민심을 측정할 수 있는 가치가 있을 지 의문이다.

13일간의 선거기간에 여·야 정치권이 보였던 행보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여야는 이번 선거에 전략공천을 전가의 보도처럼 휘둘렀다. 서울 동작을이 그랬고, 김포와 수원 영통·팔달이 그랬다. 지역연고가 없는 정치인들을 인지도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공천을 강행했다 야당이 먼저 매를 맞았다. 곳곳에서 후폭풍이 이어지며 지지하락세를 보였다. 그러자 야권은 연대론을 꺼내들었다. 이 또한 명분론에 밀려 지도부의 거부로 이어졌다. 결국에는 후보 개인의 결정사항으로 떠넘겨 야권은 사실상 후보단일화를 이뤘다. 겨우 판세는 여야간 균형을 이뤘다. 특이 사항이 없던 여·야는 세월호 수사를 볼모로 공방을 펼쳤다. 세월호 수사는 이번에도 선거쟁점화됐다. 검찰과 경찰은 정치논리에 휘둘리며 제자리를 찾지못한 채 무능만 드러냈다. 결국 이번 선거는 세월호 정국으로 치러졌던 6·4선거의 후속편으로 전락했다. 급기야 선거 막판에는 유병언 회장의 사체를 둘러싼 진실공방까지 이어졌다. 사법부의 본인확인에도 불구하고 야당 중진의원은 끝까지 의혹을 제기하며 여당 공격에 안간힘을 쏟았다.선거는 미래를 담보한 국민적 결정이다. 유권자들이 과연 여야 후보들의 행보와 공약에서 어떠한 미래를 보았는 지 궁금하다. 다만 예년보다 저조한 투표율은 이런 정치인들에게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는 국민들의 경고라는 점을 정치권은 새겨들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