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난 16일 시행 첫날부터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가 졸속행정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21일 혼잡이 심한 분당 등 2곳에 17대를 투입했다. 아침부터 수도권 일대부터 출퇴근 대란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좌석이 찬 버스들이 더 이상의 승객을 태우지 않고 지나가 지각사태가 속출하며 혼란을 빚고 있다.
8월 중순부터 실제 단속에 들어갈 방침이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하지만 어디에 얼마나 추가 투입이 될 지, 실효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광역버스 입석 승객만 하루 1만~2만명에 이른다. 하루 입석 승객 2000명밖에 수송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시민 불편은 불보듯 뻔하다.

수도권 광역버스에 대한 입석금지 조치는 시민들의 안전을 이유로 시행하는 만큼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대책을 치밀하게 세우지 않고 졸속으로 시행하다보니 지각 출근 등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국토부와 인천시, 경기도 등 지방자치단체는 당초 광역버스 입석금지 시행에 맞춰 62개 노선에 222대를 증차했다. 하지만 기점 가까운 곳에서 좌석이 꽉 차 중간 지점에서는 무정차 통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자 9개 노선에 37개를 늘렸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는 서울로 출근하는 승객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21일부터 혼잡이 심한 분당 이매촌과 서현역에 각각 전세버스 7대와 10대를 투입했다고 밝혔다. 용인 상미마을에도 28일부터 13대가 더 편성된다고 한다. 임시방편의 땜질식 처방을 한 셈이다. 정부 정책이 갈피를 잡지 못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이 입는다. 그동안 '어떻게 되겠지' 하고 안이했던 발상이 시행 첫날 소동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이제와서 대책을 마련한다며 호들갑을 떨고 있다.

기껏 내놓은 대책이 광역버스 요금인상이다. 실패한 정책을 시민들에게 떠넘기는 꼴이다. 정부 대책은 공신력이 생명인데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그때 그때 땜질 처방이 계속되면 누가 믿겠는가. 광역버스 입석금지 정책 방향 자체는 옳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민 안전을 위한 추가 보완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