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문화계가 시끌벅적하다. 최근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의 수혜자인 전·현 입주작가 30여 명이 플랫폼 운영방식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는가 하면 부평문화재단은 대표의 연봉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주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입주작가들이 문제를 처음 제기한 때는 지난해 11월이다. 입주작가들은 이때 인천아트플랫폼의 독단적·일방적 운영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인천문화재단이 공개토론회를 열기로 합의하면서 일이 마무리되는 듯 했다. 그런데 지금까지 토론회가 열리지 않자 다시한번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입주작가들은 또 입주작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1차 심사 탈락자가 2차 심사에 다시 오르는 등 인천아트플랫폼의 입주작가 심사에 대한 문제도 함께 제기했다. 이들은 예술계에서 진행되는 각종 공모와 심사는 대개 1차 심사탈락자가 다음단계(2차 심사, 3차심사)에서 구원될 수 없지만 인천아트플랫폼에서는 가능했다고 비판했다.

부평문화재단의 경우 부평구가 무보수 명예직으로 선출한 부평구문화재단 대표이사에게 연봉을 지급하기 위한 조례개정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부평구는 지난 2011년 재단의 '재정효율성 확보'라는 명분을 내세워 대표이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조례개정을 했는데, 최근 '무보수 명예직' 조항을 삭제하고 보수를 지급하는 개정안을 제출하자 '꼼수'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문화계 문제들은 수장의 잘못된 처신으로 나오는 것이어서 문제가 있다. 인천아트플랫폼의 경우 지난해 문제가 불거졌는데도 해결방안을 차일피일 미루다가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을 가능성이 커졌다. 부평구의 경우 수장이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필요할 때마다 조례를 개정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문화계 대표들은 결정을 내릴 권리도, 업무와 위상에 맞는 보수를 받을 권리도 있다. 그렇지만 구성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일반인들이 보기에 상식적이지 않은 일은 하지 말아야 할 '의무'도 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문화는 특히 불협화음이 아닌 하모니로 완성되는 것이다.